이번에 소개해드릴 제품은 기가바이트의 라데온 R7 265 2GB WINDFORCE 2X 그래픽카드입니다.

라데온의 메인스트림 라인업인 R7 시리즈의 최상위 제품군인 R7 265는 사실 R7보다는 R9에 가까운 모델입니다. 상위 버전인 R9 270와 동일한 기판을 쓰며,R9 270과 동일한 Curacao PRO 코어 GPU와 256-bit의 메모리 인터페이스가 채용되어 있습니다.




굳이 다른 점이 있다면 R9 270의 1280개 스트림 프로세서, TMU 80개 대비 부족한 1024개의 스트림 프로세서와 64개의 TMU가 사용된다는 점이 있습니다. 사실 여기서 눈치채신 분들도 있겠지만, 1024개의 스트림 프로세서와 64개의 TMU, Curacao PRO 코어 GPU 그리고 256-bit 메모리 인터페이스의 스펙은 이전 세대인 HD 7850과 완전히 동일한 구성입니다.

다만 HD 7850의 기본 동작 클럭은 860MHz, 메모리 클럭은 4800MHz인데 반해, R7 265는 R9 270과 동일한 기본 동작 클럭 900MHz, 메모리 클럭은 5600MHz을 갖고 있는데요. 어떻게 보면 R9 270의 일부 기능을 제한한 버전으로 보이고, 다르게 본다면 HD 7850의 오버클럭 버전으로 볼 수 있는 셈이죠.

확실한 것은 R7 265는 R7 260X 이하 기존 128-bit 메모리 인터페이스의 R7 시리즈보다는 R9 시리즈에 가깝다는 점입니다. 특히 소개해드릴 기가바이트의 제품은 레퍼런스 R7 265보다 높은 1008MHz의 기본 클럭과 부스트 모드 1036MHz 클럭으로 셋팅되어 있으며, 메모리 크럭 또한 5600MHz으로 상향되어 있습니다. 출시된 R7 265 제품들 가운데 가장 높은 팩토리 오버클럭이 이뤄진 제품으로 레퍼런스 R9 270을 뛰어넘는 성능을 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물론 R7 265인 만큼 R9 270 대비해서 가격적인 측면에서 경쟁력이 있고요.

또한 기가바이트의 제품은 다른 R7 265 제품과는 달리 PCI-E 전원 소켓이 2개가 들어갑니다. 오버클럭된 기본 환경에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변형된 부분으로 보이는데, R9 270 역시 2개의 전원 소켓을 갖고 있기에 외형적으로도 R7 시리즈보다는 R9 시리즈에 가까워 보입니다. 강력한 냉각 능력과 저소음을 자랑하는 기가바이트 특유의 WINDFORCE 2X 쿨링 시스템도 좋구요.

아쉬운 점은 기가바이트 제품의 국내 유통사인 제이씨현에서 R7 265 제품을 초기 소량 들여와 판매하고 단종시킨 상태로 현재 정식 발매 제품은 구할 수 없습니다. 제 경우에도 아마존에서 해외 직구를 통해 저렴하게 구입한 경우이고요. 개인적으로는 AMD의 포지션에서 R7 265 제품은 굉장히 애매한 위치에 자리한 것으로 보이고, 지속적으로 생산되지는 않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아마 R9 270 라인업의 가격이 내려가면 자연스럽게 도태될 것으로 보이구요.

하지만 적당한 가격에서 메인스트림 제품군으로는 R9 시리즈에 버금가는 충분한 성능을 내주기에 앞으로 꽤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사실 서브 PC에 사용 중인데 메인 PC에 있는 R9 270X와 체감상으로 큰 차이를 느낄 수 없을 정도로 발군의 성능을 내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구입가를 감안하면 만족감에서 더 앞서는 제품이 기가바이트 R7 265가 아닌가 싶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kju135

back in the building

,

한참 전 이야기이지만 한동안 AMD RADEON HD 6950 모델을 HD 6970으로 개조해 사용하는 것이 인기였는데, 방법은 간단했습니다. 6970의 쉐이더와 클럭, 램타이밍 등의 정보를 6950 바이오스에 덮어 씌워 손쉽게 변신이 가능했기 때문에 널리 사용이 됐었는데요. 문제는 이 변신이 바로 "뽑기 운"에 따라 성공 여부가 결정된다는 점이었습니다.

 

 

 

제 경우 VTX3D HD6950 DDR5 2G를 사용 중이었는데 바이오스 개조가 한창 유행할 당시 6970의 바이오스를 입히면, 3D 게임을 구동하거나 GPU에 조금이라도 부하가 걸릴 조짐이 보이면 바로 화면에 줄이 가거나 시스템다운, 블루스크린 등 문제가 마구 터져나왔습니다. 다행히도 백업해둔 6950 본래의 바이오스로 복원하면 문제가 사라졌습니다. 한마디로 제가 가진 카드는 뽑기 운이 안좋았던 것이고 포기할 수 밖에 없었죠.

 

그렇게 잊고 지냈었는데 최근에 이러한 뽑기에 실패한 사용자들을 위한 또 다른 개조법이 있다는 것을 뒤늦게 알고 적용해보았습니다. 바로 VGA 성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쉐이더 부분만 6970과 같게 하고 그 외에 클럭이나 램타이밍 등은 기존 6950 것으로 사용하는 것 입니다. 사실 3D 그래픽 처리에 있어서 쉐이더가 차지하는 역할이 상당하기 때문에 이 부분만 6970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도 성능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개조 전 오리지널 6950 

 

↓ 쉐이더 언락 후 6950

 

그림을 유심히 보시면 통합 쉐이더 갯수만 1408에서 1536으로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 외의 처리 수준은 모두 6950과 같기 때문에 최악의 뽑기 운이 아니라면 대부분 문제 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과거 6950@6970 개조 후 시스템 불안정 때문에 포기했던 분들이 있다면, 쉐이더 언락만 진행하는 방법으로 시도해보는 건 어떨까요? 조금 연식이 오래되긴 했어도 아직은 좋은 카드이니까.. 현역 기간을 좀 더 연장해주는 이 방법을 통해서 말입니다.

블로그 이미지

kju135

back in the building

,

 

 

현재 사용 중인 메인보드 GIGABYTE MA770-S3P에서 사용 가능한 최상위 CPU인 AMD 페넘II X6 1100T로 업그레이드. 단종된지 꽤 기간이 지난 제품이기 때문에 신품은 구할 수 없고, 중고로 구입했다. 기존 플래그쉽 모델이었던 페넘II X6 1090T 출시 후 최상위 라인을 대체하기 위해 뒤늦게 투입된 제품이었고, 곧 후속 라인업인 AMD FX 시리즈가 출시되면서 곧 단종되어 버린다. 실제 판매 기간은 페넘II X6 시리즈 중 가장 짧았던 제품이었던데다가 공급되던 기간 중에도 경쟁사인 인텔 제품에 비해 신통치 않은 가성비로 판매량이 신통치 않았던 모델(...)이지만 현재 나와있는 AMD FX 시리즈에 비해서도 클럭당성능이 오히려 앞서는 능력을 보여줘 당시 책정됐던 다소 높은 가격 문제를 제외한다면 성능면에서는 최근 고급 모델들과 견주어도 손색이 없는 수준이다.

 

AMD 페넘II의 네이티브 헥사코어 코드명은 투반. 이 가운데서도 모델명 뒤에 T가 붙는 제품들은 인텔 코어 i 시리즈의 터보부스트와 유사한 터보코어 기능이 탑재된 것이 특징. 1100T의 경우 스레드를 3개 이하로 사용시 순간적으로 나머지 코어 3개의 클럭을 기본 클럭 3.3GHz에서 3.7GHz로 끌어올려준다. 배수해제 락이 풀린 블랙에디션 모델인데다가 각 코어가 터보코어시 3.7GHz로 작동하도록 설계되었기에 오버클럭에도 단연 뛰어난 모습을 보여준다. 기존 페넘II X4 955를 사용하다가 CPU만 교체했는데 바로 체감할 정도로 성능향상이 있으니 만족감도 높다.

 

다만 현기준으로 GIGABYTE MA770-S3P 메인보드는 마지막으로 배포된 베타 버전의 F6d 바이오스에서 헥사코어를 지원하는데, GIGABYTE의 공식 CPU 지원 목록에는 F6d 바이오스에서 페넘II X6 1090T까지만 지원하는 것으로 표기되어 있다. 아마도 페넘II X6 시리즈 가운데 가장 마지막에 등장한 1100T와 1075T 출시 이전에 만들어져 해당 CPU 모델에 대한 준비가 이뤄지지 못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F6d 바이오스에서 1100T와 1075T의 인식이나 사용은 모두 정상적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CPU 지원 목록에 없다고 해서 이 모델들의 선택을 포기할 필요는 없다. 그래도 역시나 아쉬운 것은 타사대비 GIGABYTE의 부족한 바이오스 지원, 헥사코어도 마지막 베타버전에서나 겨우 지원하고, 그 이후 정식 바이오스는 여태 나오지 않았고.. 사실 현재 시점에서는 나올 가능성도 희박하다. 물론 F6d 바이오스가 베타버전이라고 해서 특별히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타 메인보드 제조사에 비해서는 분명히 대응 수준이 떨어진다. 특히 같은 칩셋을 사용한 메인보드에서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통해 최신 AMD FX 불도저 코어 제품들을 지원하는 것을 보면 GIGABYTE 제품의 바이오스 지원은 정말 절망적이다.

 

블로그 이미지

kju135

back in the building

,

개인적으로 인텔보다 AMD를 선호하기 때문에 데스크탑과 노트북을 모두 AMD 시스템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 말씀드릴 AHCI 모드는 메인보드의 사우스브릿지 칩셋과 관련이 있는데요, 제 데스크탑은 SB750 칩셋이 노트북은 Hudson-1(SB800) 칩셋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AHCI 모드에서 핵심적인 기능 중에 하나가 바로 NCQ입니다. 쉽게 말씀드리면 기존의 순차적인 디스크 섹터 접근이 아니라 필요한 데이터 구간으로 연속적으로 접근함으로써 디스크 성능을 높이는 기술인데요, 일반 유저들이 AHCI 모드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이유가 바로 이 NCQ 활성화를 통한 성능 향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하지만 유독 AMD 사우스브릿지에서 NCQ를 활성화하는 방법에 대해 여러가지 말들이 많습니다.

가장 많이 퍼져있는 내용이 AHCI 모드로 설정하고 최신 AMD AHCI 드라이버를 설치하더라도 NCQ가 활성화되지 않으니,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윈도7이 아닌 과거 윈도 비스타 시절에 AMD에서 제공하던 구 버전의 AHCI-RAID 통합 드라이버(AMD AHCI Compatible RAID Controller Driver)를 설치하고 RAIDXpert 툴을 설치해 NCQ를 활성화하라는 내용입니다. 사실 사용자가 NCQ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할 방법이 많지 않기 때문에 구 버전 드라이버를 설치하고 NCQ 활성화 정보를 보여주고 설정할 수 있는 RAIDXpert를 이용하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최신 AMD AHCI 드라이버를 설치할 경우 NCQ가 활성화되지 않는다는 정보는 잘못된 사실이란 점입니다.

 

위 내용 중에서 굳이 구 버전의 AHCI-RAID 통합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이유는 RAIDXpert에서 디스크를 인식시키기 위함입니다. RAIDXpert는 프로그램 제목에서 알 수 있는 RAID 모드에서의 각종 설정을 용이하게 해주는 기능을 담고 있는데, 과거의 AHCI-RAID 통합 드라이버는 양 모드간 별도의 드라이버가 제공되지 않고 하나의 드라이버를 사용했기 때문에 AHCI 모드를 사용 중인 디스크도 RAIDXpert에서 인식이 됐던 것입니다.

 

현재 AMD에서 제공하고 있는 최신 칩셋 드라이버의 경우 AHCI 드라이버와 RAID 드라이버를 별도로 분리해 배포되기 때문에 AHCI 드라이버를 설치할 경우 당연히 RAIDXpert에서 디스크를 인식할 수 없고, NCQ 활성화 관련 항목도 확인할 수 없습니다. 이 때문에 AHCI 드라이버를 사용할 경우 NCQ 활성화를 할 수 없다는 루머가 돌게 되었는데..

 

이와 관련해 해외 포럼에서는 이미 오래 전에 결론이 난 상황입니다.

잠시 2010년도에 올라왔던 NCQ 관련 글을 보고 가겠습니다.

 

 

인텔 X-25M 80GB SSD를 사용 중인 한 사용자가 해외의 저장장치 관련 포럼에 AHCI 모드시 RAIDXpert에서 NCQ 활성화 상태를 확인할 수 없다는 글을 올리며 조언을 구하고 있습니다. 국내의 블로그나 커뮤니티 등지에서 의문을 불러오던 내용과 동일합니다.

 

여러 글들이 오갔으나 다음 답변 글로 상황이 종결되었습니다.

 

 

한 사용자가 RAID 모드의 HDD는 RAIDXpert에서 사용할 수 있었으나 AHCI 모드의 SSD는 RAIDXpert에서 인식되지 않았다며 해당 문제에 관한 AMD로부터의 답변을 인용했는데, AMD는 "NCQ is enabled as default in our SATA AHCI driver. However, if you are using our SATA RAID driver, NCQ is disabled as default."이란 답변을 했습니다.

 

AMD의 SATA AHCI Driver에서 NCQ는 기본 활성화되어 있지만, RAID Driver에서는 NCQ가 비활성화되어있는 것이 기본 상태라는 것입니다. 한마디로 RAIDXpert에서 NCQ를 활성화 설정을 해줘야만 하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RAID 드라이버는 NCQ 비활성화가 기본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최신 AHCI Driver를 설치한다면 NCQ가 기본 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에 RAID 모드(0~5) 등을 설정하기 위한 RAIDXpert에서 굳이 인식할 필요도, 설정할 필요도 없다는 것입니다.

 

결론은 AMD 사우스브릿지 칩셋과 AHCI 디스크를 사용하면서 NCQ를 활성화하고자 한다면, AMD에서 제공하는 최신 AHCI 드라이버가 포함된 AMD Chipset Drivers을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굳이 윈도 비스타 시절에 배포되던 AHCI-RAID 통합 드라이버를 사용할 이유도, RAIDXpert에서 디스크를 인식시키고 활성화 시킬 이유도 없습니다.

 

덧붙이자면 RAID는 애초에 여러 디스크를 하나의 드라이브로 묶어 사용하기 위해 나온 개념이기 때문에 다양한 RAID 모드와 설정 방법이 존재하며 이를 관리하는 툴이 RAIDXpert입니다. 이에 반해 Advanced Host Control Interface의 약자인 AHCI는 기존 IDE(PATA) 모드에서 제공하지 않는 SATA 만의 고급 기능인 핫플러깅, NCQ 등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개념입니다. 물론 AHCI는 단독 AHCI모드와 RAID와 결합한 AHCI/RAID 모드를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크를 하나로 묶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요약하자면 단일 드라이브에서 NCQ 등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AMD에서 제공하는 최신 AMD Chipset Drivers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준비가 끝납니다. RAID나 AHCI/RAID 모드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AMD에서 제공하는 최신 RAID Driver를 설치하고, 여기에 더해 AHCI 기능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RAIDXpert를 설치해 NCQ 기능이나 쓰기캐쉬 기능을 활성화시켜주면 AHCI/RAID 모드가 되는 것입니다.

 

추가로 쓰기캐쉬 활성화 대해서도 덧붙입니다. 쓰기캐쉬는 워낙 기초적인 기능이며 IDE PATA 시절부터 적용되어 온 비교적 오래된 기술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옵션 설정은 굳이 기재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 생각했지만, 여전히 RAIDXpert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AHCI에서 쓰기캐쉬 활성화를 할 수 없다는 주장이 있어 본문에 추가합니다.

 

 

쓰기 캐쉬는 윈도 제어판 장치 관리자에서 해당 디스크를 열어 정책탭을 열면 쓰기 캐쉬 활성화 옵션 및 설정이 가능합니다. 이것은 AHCI나 RAID에서 등장한 기술이 아니기 때문에 기존 IDE PATA 디스크에서도 설정이 가능한 부분입니다.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어디까지나 RAID는 복수의 디스크를 하나의 디스크처럼 만들어 큰 용량의 저장공간을 만들기 위한 기술이고, AHCI는 SATA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는 핫플러깅 또는 NCQ 등의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술입니다. 물론 두가지 방식 모두 SATA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드라이버와 계층 구조가 유사한 부분이 있습니다. 이 때문에 과거 AMD의 AHCI-RAID 통합 드라이버와 같은 물건이 나오기도 했었구요. 하지만 현재 각 모드에 최적화된 드라이버가 나온 상황이라면 그에 맞는 최신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더군다나 AHCI의 경우 핫플러깅이나 NCQ 등을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등장한 기술인데 AHCI 전용 드라이버를 설치할 경우 NCQ가 되지 않는다고 하는 것은 AHCI의 존재의 이유를 부정하는 것과 마찬가지 아닐까 싶습니다. 당연히 AHCI 드라이버 상태에서는 NCQ가 기본 활성화되며, 사용 목적이 다른 RAID 모드와 RAID 드라이버에서는 NCQ가 기본 상태에서 활성화될 이유가 없습니다. 이 때문에 RAIDXpert에서 추가로 설정을 해줘야 하는 것이구요. NCQ나 핫플러깅과 같은 AHCI 기본 기능을 너무나 당연히 제공해야 하는 또는 제공하고 있는 AHCI 전용 드라이버는 일부 RAIDXpert를 맹신하는 유저들에 의해 고유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다는 오명을 쓰고 있는 것입니다. 

 

AMD 사우스브릿지 칩셋을 사용하면서 NCQ 활성화를 위해 구 버전 드라이버를 설치할까 고민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SB600 윈도7 AHCI/RAID 드라이버 설치하기 - http://kju135.tistory.com/159

블로그 이미지

kju135

back in the build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