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데스크탑 3대를 사용 중입니다. 모두 AMD 플랫폼인데, 가장 오래된 시스템이 바로 AM2 소켓의 윈저 6400+이 탑재된 모델입니다. 기존에 유니텍 LEGEND NF520 Tuvalu라는 메인보드를 사용했는데 요즘 바이오스 설정을 해도 메모리 클럭이 자꾸 풀리는 이상 증상을 보여 교체할 중고 메인보드를 골랐습니다. 선택한 제품은 바로 2006년 6월에 출시된 ASUS M2V 모델입니다.

 

우선 윈저 6400+은 3.2GHz로 작동하는 TDP 125W의 AM2 CPU 입니다. AM2+가 아닌 AM2 소켓에서는 나름 최상위에 자리하고 있는 CPU이고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아직 쓸만한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가급적이면 확장성이 뛰어난 ATX 폼팩터의 메인보드를 선호하고, PCI 및 메모리 슬롯 등 전체적인 레이아웃과 중고 시세 등 여러가지 요소를 고려해 결정했습니다. ASUS M2V의 경우 그래픽카드를 위한 PCI-E 16x 슬롯과 그 외 추가적인 장착을 위해 PCI-E 1x 슬롯 1개, PCI 슬롯 4개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또한 듀얼채널 구성이 가능한 DDR2 슬롯 4개가 마련되어 있구요. 이 정도 구성이면 확장성에 있어서는 최대한 확보가 되기 때문에 아쉬운 점이 없습니다.

 

노스브릿지로는 VIA K8T890 칩셋이, 사우스브릿지로는 VT8237A의 조합된 구성인데요. ASUS에서 같은 AM2 소켓 VIA 칩셋 메인보드로 출시했던 mATX 폼팩터용 M2V-MX의 경우 사우스브릿지로 VT8237S가 채용된 것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부분입니다. 물론 ASUS M2V-MX는 mATX 타입으로 확장성에 있어 M2V에 비해 크게 떨어지지만 사우스브릿지에 있어서만 앞선다고 볼 수 있습니다. M2V에 탑재된 VT8237A의 경우 SATA-I 규격까지 지원하지만 VT8237S은 SATA-II 컨트롤러를 탑재하고 있으며, 전송속도에 있어 SATA-I 규격은 1.5Gbps까지 SATA-II 규격은 3.0Gbps까지 지원합니다. 물론 SSD가 아닌 일반 하드디스크에 있어서는 SATA-I에서 지원하는 속도까지만으로도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저장장치로 HDD와 짝을 맞출 경우에는 그리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어차피 제 경우에도 ASUS M2V와는 SSD가 아닌 HDD로 구성할 것이기 때문에 단점으로 작용하지는 않았구요.

 

다만 ASUS M2V는 위에서 언급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Marvell 88SE6121 컨트롤러를 채용해 내부 SATA-II 포트 1개와 외장 e-SATA 포트 1개를 추가로 제공합니다. 최종적으로는 VT8237A에서 제공하는 SATA-I 포트 2개에 추가 컨트롤러에서 제공하는 SATA-II 포트 2개를 더해 총 4개의 SATA 포트가 제공된다고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만약 SSD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이 Marvell 컨트롤러의 SATA-II 포트를 이용하면 충분한 성능을 낼 수 있으니 참고하시구요.

 

그 외에는 Attansic L1 기가비트 내장랜과 광출력을 지원하는 6채널 HD 오디오, 후면 4개, 전면 4개를 지원하는 USB 2.0 포트 등이 구성되어 있어 실사용에 있어서 필요한 부분들이 빠짐없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원부는 3페이즈의 단촐한 구성인데 반해 TDP 125W까지의 CPU를 모두 공식적으로 지원하기 때문에 윈저 6400+까지 안정적으로 장착이 가능한 것은 장점이 되는 부분입니다. 

 

블로그 이미지

kju135

back in the building

,

개인적으로 ODD(광학디스크드라이브)는 LG 제품을 선호합니다. ODD 쪽에서 LG 제품이 유명하기는 하지만 실은 LG와 일본의 히타치가 합작한 HLDS(Hitachi-LG Data Storage)의 사업부문이라는 것은 그리 많이 알려지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도 HLDS는 편의상 보편적으로 알려진 LG 제품으로 기재하도록 하겠습니다.


메인 PC에서 사용 중인 ODD는 꽤 오래된 제품입니다. LG GSA-H42L이라는 모델인데요. 라벨을 확인해보면 2006년 생산된 것으로 나오니 무려 9년째 현역으로 사용 중인 제품입니다. 오래된 연식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시판 중인 DVD 멀티 드라이브들과 비교해도 딱히 떨어지지 않는 성능과 고장 한 번 없는 내구성을 보여주고 있어 아무런 불편함 없이 사용 중에 있습니다.


트레이 쪽에는 LG GSA-H42L 모델이 지원하는 Super-Multi, DVD±RW, 라이트스크라이브, DVD-Multi, CD-RW 로고가 각인되어 있습니다. DVD±RW 로고 아래에는 작은 글씨로 DVD+DL를 지원한다는 글귀도 함께 기재되어 있는 것이 눈에 들어옵니다.



세로 트레이 설치도 문제 없이 지원합니다. 트레이 개폐 방식은 LG ODD의 전통적인 벨트 구동 방식을 따르고 있어, 소음이 적은 것은 장점이지만 사용 기간이 오래될 경우 고무 벨트가 늘어나면서 개폐가 되지 않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고무 벨트는 소모품이며, 트레이 개폐에 문제가 있을 경우 고무 벨트를 교체해주면 됩니다. 제 경우에도 오래된 제품이다 보니 장력이 느슨해진 느낌이 없지 않아 있어 최근에 고무 벨트를 교체했더니 아무 이상 없이 잘 작동하고 있습니다.

제품 후면의 모습입니다. 시판 중인 ODD 제품들과는 달리 IDE 인터페이스(PATA) 방식이 채용되어 있습니다. 점퍼 스위치를 통해 MASTER, SLAVE 혹은 CABLE SELECT를 설정하고 IDE 케이블과 4핀 전원 커넥터를 연결해주면 사용 준비가 끝나는데요, 한 가지 주의할 점은 IDE 케이블의 선택이 ODD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입니다.



GSA-H42L은 Ultra DMA(UDMA) 4 모드까지 지원이 가능한데요, 성능을 모두 끌어내려면 UDMA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UDMA 지원은 후면에 IDE 케이블에 따라 결정됩니다.



IDE 케이블은 40핀과 80핀 짜리로 구분되어 지는데 40핀의 경우 UDMA가 활성화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로 인해 미디어 쓰기시 굉장히 오랜 시간이 소요되거나 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는데요, 가능하면 80핀 케이블을 연결해 문제가 없도록 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LG GSA-H42L에 탑재된 Renesas R8J32021HFPV 칩셋은 Panasonic 칩셋보다 훨씬 더 안정적인 미디어 쓰기 성능을 내기로 유명합니다. 사실 ODD의 기록은 이 메인 칩셋이 그 성능을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LG의 수많은 ODD 모델 가운데 Renesas 칩셋을 탑재하면서 라이트스크라이브 기능을 지원하는 IDE 인터페이스의 Super-Multi 드라이브는 GSA-H10L과 GSA-H42L, GSA-H44L 밖에 없습니다. GSA-H42L과 GSA-H44L은 전면부 베젤만 디자인에서 살짝 차이가 있고 내부는 동일하기 때문에 같은 제품으로 보아도 무방하구요.


개인적으로는 메인보드의 SATA 포트는 가급적이면 하드디스크를 확장하는데에 이용하고, 잘 사용하지 않는 IDE 포트를 ODD에 이용하는 방식을 선호하는 입장이기 때문에 IDE 인터페이스에서 많은 고급 기능 지원과 좋은 칩셋의 탑재가 모두 충족되고 있어 만족감이 큰 제품입니다. 9년째 현역에서 사용 중이지만 앞으로도 이상 없이 쭉 잘 버텨줬으면 좋겠네요.




블로그 이미지

kju135

back in the building

,

 

 

 

 

제이씨현의 올인원 AVN 런즈 FS2 AT 모델 펌웨어가 지난 2014년 12월 1일 버전 1.01 빌드 0097(1.01(0097))에 이어 다시 한 번 업그레이드 되었습니다. 2015년 2월 9일자 버전 1.01 빌드 0099(1.01(0099)가 그것인데요, 제이씨현에서 공개한 주요 개선사항은 지난 1.01(0097)에서 변동된 점이 없어 세부적으로 어떤 것들이 변경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가 없습니다.

 

이전 1.01(0097) 버전 업그레이드 후 문제가 되던 YTN TPEG 수신도 이상이 없었고, 불편한 점은 딱히 느껴지지 않았는데, 이번 1.01(0099) 버전 업그레이드 후에 어떤 개선이 있는지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추측하기로는 스마트폰과의 블루투스 미러링 쪽에 개선이 있지 않은가 싶습니다. 이전에 작동하지 않던 스마트폰 SMS 수신시 내비 화면 상에 표출하는 기능이 제대로 구현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스마트폰 단말기는 팬택 베가 시크릿노트 IM-A890L이고 OS는 안드로이드 킷캣, 어플리케이션은 RunzLink와 SmartRunz 2를 설치해 테스트해보았습니다.

 

━━━━━━━━━━━━━━━━━━━━━━━━━━━━━━━━━━━━━━━━━━━━━━━━━━
◈ Runz FS2 AT 1.01 (0097) 펌웨어 (아틀란) ◈
━━━━━━━━━━━━━━━━━━━━━━━━━━━━━━━━━━━━━━━━━━━━━━━━━━

▣ 파 일 명 ▣
- FS2_AT_1.01(0099).zip
- Setup.exe 파일은 업데이트 파일을 SD에 복사해 주는 프로그램입니다.

 

▣ 주의사항 ▣
- FS2 AT 모델. 표준형 제품에서 아틀란 맵을 사용하는 제품의 펌웨어입니다.
- 모델명을 정확히 확인하고 사용하십시오.

 

▣ 펌웨어 정보 ▣
- 버전 표시
   * 버전명 : 1.01 (0099)
   * OS : 1.52 (201411050206)
   * BOOT : 1.52 (201411050206)
     - 제품에 따라 BOOT 버전이 다르게 나올 수 있으나 불량이 아닙니다.
   * FW : 1.10VGNA1102
   * APP : 3.01 (30132944)
   * DVD:   PJC-d8
     - FS2 시리즈 DVD 로더 업데이트를 추가로 설치하여야 적용됩니다.
   * BT : 00.23
   * DMB : 1005

 

▣ 주요 개선사항 ▣
1. AVN 시스템 안정화
2. MP3 파일 정렬 개선
3. 블루투스 통화 이력 개선
4. 후방 모니터 출력 정보 개선
    - SD/USB/iPod/DVD 재생 시 후방 모니터에 곡명과 그림 출력
5. 셔플 동작 개선
6. DVD 동영상 재생 시 영상 화면을 꽉 차게 조정함
    - FS2 시리즈 DVD 로더 업데이트를 추가로 설치하여야 적용됩니다.
7. YTN TPEG 업데이트 개선

 

▣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
1. SD 카드를 PC에 연결합니다. (Class 10이상)
2. 첨부파일을 다운받아 압축을 해제합니다. (압축 해제시 전용 프로그램인 알집이나 빵집 등을 사용하십시오.)
3. 압축해제하면 Setup.exe 파일을 더블 클릭합니다.
4. Runz Updater라는 창이 나타나면 SD 카드로 인식된 드라이브를 선택한 후 복사를 누릅니다.
5. 복사가 완료되면 펌웨어가 저장된 SD 카드를 가지고 차량으로 이동합니다.

6. 차량의 시동을 켠 후 내비게이션이 실행되고 있으면 Navi SD 카드 슬롯의 SD 카드를 제거합니다.
    (SD카드 제거 시 재부팅 될 수 있으나 정상 동작입니다.)
7. 펌웨어가 저장된 SD 카드를 Multimedia SD 카드 슬롯에 넣습니다.
8. 환경설정(우측 하단의 톱니바퀴)의 시스템 설정(우측 하단의 톱니바퀴)에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버튼을 누릅니다.
9. 업데이트가 진행되는 동안 시동을 절대 끄면 안 됩니다.
10. 화면에 나타난대로 설치를 진행 후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재부팅합니다.
    (포맷 설치를 선택한 경우 2번 재부팅합니다.)
11. 포맷 설치를 한 경우 환경설정의 시스템 설정에서 터치재설정과
    환경설정의 핸들리모컨 설정에서 핸들리모컨 설정을 다시 해주셔야 합니다.

블로그 이미지

kju135

back in the building

,

 

지금은 사라진 SK마케팅앤컴퍼니(이하 SK M&C)에서 출시한 엔나비 3D 맥스를 소개해드립니다. 오래전 구입해 서브용으로 소장 중인데요, SK는 현재 차량용 내비게이션 단말 사업에서 철수했고, 엔나비 사업은 SK플래닛 쪽으로 이관되어 있습니다. 과거 SK M&C에서는 꽤 다양한 종류의 엔나비 포팅 단말을 출시해왔는데요, 그 중에서도 엔나비 3D 맥스는 SK M&C의 후기에 출시했던 모델 중 하나입니다.

 

텔레칩스의 TCC8803 ARM CORTAX-A8 1GHz 프로세서와 512MB DDR2 메모리 그리고 MBC TPEG이 탑재되었기 때문에, 엔나비 3D 탑재 단말 중에서는 최고 사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최근 출시되는 내비게이션과 비교한다면 다소 떨어지는 사양일 수는 있지만 출시된 지 수 년이 지난 엔나비 3D를 구동하기에는 충분한 사양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적으로는 만족할 만한 수준이지만 사실 이 모델의 문제는 소프트웨어에 있습니다. 바로 엔나비 3D의 문제인데요. 현재까지 구현된 지도의 세밀함도 타사 대비 크게 부족하지만 더 큰 문제는 정기 업그레이드의 주기 역시 형편 없다는 점입니다. SK플래닛은 차량용 내비게이션 단말 사업에서 철수했고 기존의 SK M&C 시절 때보다 업그레이드 주기를 대폭 축소하기로 했는데요. 사실 내비게이션 사업을 정리하고도 업그레이드 해주는 사례가 많지는 않기 때문에 역시 대기업 SK이기에 가능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반대로 본다면 멀쩡히 잘 운영되며 최소 2개월에 1번 꼴로 정기 업그레이드에 나서는 아이나비나 아틀란, 지니, 맵피를 두고 고작 연 2회 업그레이드에 그치는 엔나비를 쓸 이유는 없습니다.

 

하드웨어 단말이 멀쩡하다 하더라도 핵심인 소프트웨어가 개선이 없다면 내비게이션으로써 수명은 다 한 것이나 마찬가지겠지요. 서브 내비로는 그럭저럭, 메인 내비로는 추천할 수 없는 모델 엔나비 3D 맥스를 소개해드렸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kju135

back in the building

,

지난 2012년에 교체했던 AC델코 배터리 이후 만으로 2년 넘게 아무 문제 없이 잘 사용해왔는데, 상시 전원 연결된 블랙박스의 사용과 적은 주행 횟수로 배터리 성능이 우려되어 교체하기로 합니다. 기존에 사용해오던 AC델코 배터리는 세방전지(로케트)의 OEM 제품으로 만족하며 사용해왔던지라, 이번에도 가급적이면 세방전지 제품을 선호했습니다.

 

 

마침 인터넷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규격과 동일한 60R 배터리를 싸게 구입할 수 있었는데, 카포스 배터리였습니다. 카포스(Carpos)는 한국자동차전문정비사업조합연합회(이하 한전연)의 브랜드인데요. 흔히 볼 수 있는 카포스 정비소는 바로 이 조합의 가맹점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또한 카포스라는 브랜드는 차량용 부품에서도 만날 수 있는데요, 한전연에서 인증한 부품들이 카포스라는 브랜드로 OEM 납품되고 있습니다. 제가 구입한 카포스 배터리도 바로 이와 같은 OEM 생산 제품인데, 마침 제조사가 바로 선호해오던 세방전지였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카포스 배터리 공급업체가 세방전지 외에 델코(DELKOR)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구입 제품의 제조번호는 KH4J09인데요, 세방전지 광주공장 H라인에서 생산된 2014년 10월 9일 생산 제품이네요. 이 정도의 제조일이면 꽤 양호한 수준입니다. 인터넷으로 구입할 때 일부 판매자들은 오래된 재고 제품을 보내기도 하는데요, 생산일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오래된 배터리는 성능이 크게 떨어질 수 있거든요.

 

 

카포스 배터리 상단에는 주의사항과 간단한 제품 사양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60R 규격에 12V RC100MIN CCA560A로 기재되어 있습니다. 카포스 로고와 함께 제조사인 세방전지, 로케트 BI가 함께 디자인되어 있구요.

 

 

자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배터리 자가 교체에 들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차량의 본네트를 열고, 탈착할 기존 배터리 위치를 확인해 봅니다.

 

 

기존에 장착되어 있는 AC델코 배터리. 같은 60AH 용량의 같은 세방전지 제조이니 그냥 같은 제품이라고 보면 됩니다.

 

 

제조번호는 KG2G17, 세방전지 광주공장 G라인에서 2012년 7월 17일에 생산됐었군요.

그 동안 고생 많았다~ 이제 배터리 탈착으로 들어갑니다.

 

 

먼저 배터리를 고정하고 있는 브라켓 홀더를 제거해야 합니다. 스패너를 이용해 홀더에 체결된 볼트를 풀어줍니다.

차량마다 모양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배터리 고정을 위한 홀더는 달려 있으니 확인 후 탈착합니다.

위 아래 볼트를 풀고 브라켓 홀더를 떼어 냈는데..

 

 

홀더 안쪽 면에 시뻘건 녹이 생겨 있습니다.. WD-40으로 닦아내고 찍은 사진인데도 녹이 많이 남아 있네요.

결국 브라켓 홀더는 새 부품으로 교환하기로 하고 주문했습니다.

 

 

갑작스러운 녹 발견으로 새 부품을 사오는 해프닝이 있긴 했지만, 다시 배터리 탈착으로 이어집니다.

배터리의 탈착 시에는 반드시 - 단자부터 풀어내야 합니다.

 

 

탈착시에는 - 단자를 풀어낸 후에, + 단자를 풀도록 하구요. 이 순서는 반드시 유의해야 합니다. + 단자부터 풀 경우에 쇼트로 화재 등 사고 위험이 있습니다. 물론 순서만 잘 지키면 아무 문제가 없구요.

 

 

배터리 탈착을 위해 - 단자, + 단자의 순으로 풀어냈습니다. 단자를 풀어낸 후에는 터미널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

터미널에 녹이나 이상이 발견되었다면 이 역시 교체하는 것이 좋구요. 평소엔 살펴볼 기회가 잘 없으니 배터리를 교환할  때만이라도 관심을 갖고 점검해 보도록 합니다. 터미널을 모두 제거 했으면 이제 배터리를 꺼냅니다.

 

 

 

탈착한 AC델코와 장착할 카포스 배터리의 비교샷입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배터리 디자인이 완전히 동일합니다. 스티커만 다르게 보이는데, 두 제품 모두 세방전지(로케트) 제품이기 때문입니다. OEM 생산이라 브랜드명만 달라졌다고 보시면 되겠네요. 현재 세방전지는 AC델코와 카포스 그리고 보쉬에 OEM으로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그 밖에 델코(DELKOR)의 경우에도 카포스와 보쉬에 OEM 제품을 공급 중이고, 금호타이어 KAM 배터리(코스트코에서 판매)로도 납품 중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보쉬라고 생각됩니다. 다른 OEM 메이커야 크게 상관 없지만, 유독 보쉬의 경우 마치 독일 본사 보쉬의 제품인양 알고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잘못된 인식입니다. 국내에서 판매되는 보쉬 배터리는 모두 세방전지(로케트), 델코(DELKOR)의 OEM 제품이고 품질도 이들 제조사의 리테일 제품과 동일한 일종의 '스티커갈이' 제품입니다. 보쉬 배터리는 국산 배터리이며, 기존 국산 배터리와 하등의 성능 차이도 없으니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각설하고, 이제 배터리 장착에 들어갑니다. 우선 새 배터리를 수평으로 들어올려 자리에 안착시킵니다.

 

 

탈착과는 반대로 배터리 장착 시에는 + 단자부터 체결하고, - 단자를 체결하도록 합니다.

 


장착시에는 반드시 + 단자부터 체결하고..
 

 

+ 단자 체결 후, - 단자를 체결하는 순. 반드시 단자 체결 순서에 주의하여야 합니다.

이제 터미널 단자 체결은 마쳤구요.

 

 

스패너로 단단히 조이고 터미널 단자의 체결에 흔들림이 없는지 다시 확인해봅니다.

 

 

잘 고정이 되었다면, 브라켓 홀더를 다시 장착하고 조여줍니다. 제 경우엔 브라켓 홀더가 녹이 슬어 새 부품으로 장착했고요.

마지막으로 터미널 커버를 닫고 배터리 교체를 마무리 합니다.

 

 

차량 시동, 전기 장치 등을 테스트 해보고요. 모두 이상 없이 잘 작동하네요. 이제 또 근 2년 간은 배터리 걱정 없이 지내보려 합니다. 스패너 하나면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배터리 교체. 인터넷으로 저렴하게 주문해 직접 교체해 보는 것도 정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좋은 방법 입니다.

블로그 이미지

kju135

back in the building

,